트럼프와 일론 머스크의 성향이 정책에 미치는 영향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무역정책 불확실성



한국의 무역정책 불확실성은 주로 미국의 정책 변화와 글로벌 경제 환경의 변동성에서 비롯됩니다. 이러한 불확실성은 한국 경제와 내수 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칩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출범으로 무역정책 불확실성이 많이 증가했고, 이는 관세 부과 가능성과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을 의미하며 저성장 기조와 보호주의적 경향의 확산으로 수입 규제 조치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대외 불확실성 증가로 소비심리가 악화하여 소비자들이 큰 지출을 미루거나 저축을 늘리니 민간 소비가 둔화할 수밖에 없고, 기업들은 설비투자를 지연시킬 수 있고, 이는 일자리 창출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무역정책 불확실성은 자동차나 전자제품 등 한국의 수출을 둔화시켜 경제 성장의 하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고환율과 생산비 부담 가중으로 인해 수입품 가격이 상승하여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질 수 있는데 AMRO는 2025년 한국 경제 성장률을 1.9%로 전망하며, 이는 미국 무역정책의 불확실성을 반영한 결과입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무역정책 불확실성을 많이 증가시킵니다.

1. 보호무역주의 강화: 트럼프 2기 행정부는 "미국 우선주의" 기조를 바탕으로 보호무역 정책을 더욱 강화할 것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2.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 트럼프는 모든 수입품에 10~20%의 일괄 관세를, 중국 수입품에는 최대 6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약했습니다. 이러한 급격한 관세 정책 변화는 국제 무역 환경에 큰 불확실성을 야기합니다.

3. 무역협정 재협상: USMCA를 비롯한 기존 무역협정들의 재협상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한국의 경우 미국의 8대 무역 적자국으로, 한미 FTA 추가 개정 압박 가능성이 있습니다.

4. 다자간 무역협정 거부: 트럼프 행정부는 다자간 무역협정 체제를 거부하고 양자 협상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는 글로벌 무역 질서에 불확실성을 더합니다.

5. 행정적 수단 활용: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의회의 견제를 받지 않는 행정적 수단을 집중적으로 활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정책 변화의 예측 가능성을 낮춥니다.

6. 새로운 기관 설립 가능성: 대외수입 청(ERS) 신설 검토 등 무역 관련 새로운 기관 설립 가능성은 정책 집행 방식의 변화를 암시합니다.

 


여기서 궁금한 것은 왜 유독 트럼프 2기 집권 정부가 적신호로 여겨지는가?


일론 머스크는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것으로 보이는 인물로 이 둘은 비슷한 성향이 있습니다.
트럼프와 머스크는 강한 개인주의 성향으로 두 사람 모두 개인의 능력과 성과를 중시하고, 특히 정부 운영에 있어 기업식 효율성을 강조와 더불어 정부 개입을 최소화하고 기업의 자유로운 활동을 지지하는 자유시장 경제를 옹호하고 있습니다. 또한 "정신 바이러스"라고 부르는 등 진보적 사고방식에 비판적인 인물이어서 이들의 인간관과 정책 방향은 트럼프 2기 정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머스크는 정부 효율 부의 수장으로서 연방정부의 인력 감축과 효율성 개선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머스크 주도하에 약 20만 명의 대규모 공무원 감축과 효율성 개선이 예상됩니다. 또한, 연방 기관의 조사나 규제 조치가 중단되고 있으며, 불법 이민자에 대한 강경한 태도가 지속될 것입니다. 소비자 보호가 약화할 수 있고, AI, 우주, 암호화폐 등 첨단 기술 분야에 대한 지원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어 머스크의 정부 내 역할로 인한 잠재적 이해 상충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들의 인간관은 개인의 능력과 성과에 따른 보상을 중시하는 지극히 "능력주의자"입니다. 특히, 트럼프는 인선 기준으로 "충성심"을 최우선으로 두며 이를 강조하였습니다. 이는 국가 이익을 최우선으로 두는 애국심을 강조하는 태도를 보이며, 위기 상황에서 강력한 지도력을 중요시하는 강인한 리더십을 선호합니다.

이러한 성향과 관점은 트럼프 2기 정부의 정책 방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며, 미국 사회의 양극화를 더욱 심화시킬 가능성도 있습니다. 동시에 기업 친화적 정책으로 경제 성장을 도모할 수 있지만, 사회 안전망 약화와 불평등 심화 등의 부작용도 우려됩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출범은 한국의 무역정책 불확실성을 증가시키고 있으며, 이는 한국 경제와 내수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일론 머스크의 영향력은 정부 구조 개혁과 기술 정책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지만, 규제 완화와 소비자 보호 약화 등의 부작용도 예상됩니다. 트럼프와 머스크의 성향은 국제 관계에 복잡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며, 미국 우선주의 기조가 강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이러한 상황에 대비하여 한국은 내수 시장 활성화와 수출 다변화를 통해 경제적 안정성을 유지해야 할 것입니다.